가족여행지

[스크랩] 연두빛에 빠진 내소사의 봄

캠퍼5 2008. 4. 9. 18:47

 
월명암 건너편 산자락에 앉은 내소사는 내변산의 관문이다.

내소사는 백제 무왕때 세워진 고찰. 원래 이름은 소래사라고 한다.
소정방이 이 절에 머물며 이름이 바뀌었다는 얘기도 내려오지만
 미당 서정주가 쓴 내소(來蘇)란 이름에 얽힌 얘기가 더 그럴싸하다.
대웅전 단청작업을 할 때 일을 끝마치기 전에는 문을 열지 말라고 했으나
 방정맞은 중이 창구멍으로 들여다보았다.
붓을 잡고 단청을 하던 새가 쓰러지며
단청작업은 내생(來生)이나 소생(蘇生)에 하라고 해서 내소란 이름이 나왔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소사로 가는 길은 일주문을 지나 전나무숲으로 시작된다.
600여미터에 달하는 나무 터널을 걷노라면
속세와는 단절되어
나안의 나, 나밖의 나를 가만히 들여다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긴 전나무 숲길이 끝나면 어둠의 땅에서 밝은 햇�의 넓은 뜨락과 마주하게 된다.
봄에는 벗꽃이 만발하고 여름에는 짙은 녹음이
가을에는 미치도록 붉은 단풍이 겨울에는 시린 눈꽃이....
낮은 담장을 양옆에 낀 사천왕문이 우리를 맞이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왕문에 들어서면 낮은 돌축대에 소담하게 내려 앉은 내소사 경내가 한 눈에 들어온다.

제각기인 주춧돌 위에 천연덕스럽게 앉은 봉래루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면으로 보이는 봉래루 아래를 고개 숙인채 걸어가면
어느 새 소나무 뒤로 시원스레 나래를 편 대웅전이 조금씩 그 자태를 드러낸다.
대웅전 오르는 길은
부석사 대웅전 오르는 길과 흡사한 긴장이 있다.
누각 밑을 고개 숙여 묵묵히 걸어가노라면
눈 앞에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능가산의 연봉들이 감싸듯 두르고 있는 대웅전!
이 건물은 못을 쓰지 않고 나무토막들을 깍아 끼워 맞춰 세운것으로
그 공력과 기술에는 탄복할 수 밖에 없다.
전설에는, 청민선사가 절을 중건할 당시
대웅전을 지은 목수는 3년 동안이나 나무를 목침덩이만하게 토막내어 다듬기만 했다고 한다.
장난기가 발동한 사미승이 그 중 한 개를 감추자,
 나무깍기를 마치고 토막 수를 헤아려 본 목수는
자신의 실력이 법당을 짓기에 부족하다면서 일을 포기하려 했다.
사미승이 감추었던 나무토막을 내놓았지만
목수는 부정 탄 재목을 쓸 수 없다 하여 끝내 그 토막을 빼놓고 법당을 완성했다.
 그래서 지금도 대웅보전 오른쪽 앞 천장만 왼쪽에 비해 나무 한 개가 부족하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웅전 돌계단을 오르니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대웅전의 꽃창살무늬이다.
채색을 하지 않아도 화려한 것이 오히려 격조가 높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땅의 높낮이가 달라도 평평하게 하지 않고
지형에 맞추어 세운 설선당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령 950년 된 입암마을의 할아버지 당산나무, 할머니 나무는 일주문 앞에 있다.
보종각 안의 고려동종은 원래 이곳에 있지 않았다.
1222(고려 고종 9)년 청님사 종으로 주조되었다가 절이 없어진 뒤 찾을 길 없다가,
1853(조선 철종 4)년 청림사 터에서 발견되었다.
발견당시 종에서 소리가 나지 않아 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이 가져가기로 했는데,
내소사 스님이 종을 치자 비로소 아름다운 울림이 이어져 내소사로 오게되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나무 숲길이 끝나는 작은 연못 옆 산기슭에는 부도전이 있다.
부도전 오르는 길은 작은 실개천에 가로 놓인 앙증맞은 돌다리를 건너야한다.
부도전의 여러 비 중에
 탄허 스님의 호쾌한 글씨가 쓰인 "해안범부지비(海眼凡夫之碑)가 단연 눈에 들어온다.
 
    生 死 於 是   是 無 生 死
          생사가 여기에 있는데 여기엔 생사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천령의 새로운 바람흔적(http://neowind.tistort.com) 

 

내소사의 황홀한 설경은(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621410)를 보세요.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출처 : 김천령의 바람흔적
글쓴이 : 김천령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