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부

조리개,셔속,심도,iso - 넌 또다른나 님의 글을 퍼옴

캠퍼5 2008. 4. 1. 22:29

조리개가 개방(넓음)될수록 셔터스피드가 빨라지고
조리개를 조일(좁음)수록 셔터스피드가 느려지고
셔터스피드가 빠를수록 사진은 안흔들리고
셔터스피드가 느릴수록 사진은 흔들리고 를 아실겁니다.
조리개는 위에 말한것 이외의 영향도 줍니다.

조리개를 조일수록 사진은 전체적으로 선명해집니다.
(그래서 셔속이 느려져도 전체적으로 선명한 풍경을 찍기위해 조리개를 조여서 긴 셔속에도 불구하고 삼각대를 써서 안흔들리게 합니다.)
(그리고 야간에 가로등 같은 불빛도 빛갈라짐이 생겨서 이쁩니다.)

조리개를 개방할수록 촛점이 맞은 부분만 선명하고 다른부분은 흐릿합니다.
(이같은 현상들을 심도라고 부릅니다. @.@)

셔터스피드도 무조건 빠른게 좋은것은 아닙니다.
무언가의 잔상을 표현하고 싶을때는 일부로 어느정도 셔속을 느리게 합니다.
예를들어 흐르고 있는 폭포를 찍으려는대 셔속을 빠르게 하면 흐르는 폭포가 아니라 멈춰버린 폭포가 되버리죠 @.@
이때에는 셔속을 느리게 해줘야 흐르고 있는 폭포의 느낌을 살릴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점프를 해서 뛰어올랐을때 그 순간이 멈춘듯한 느낌을 찍고싶을때는 셔속을 빠르게 합니다.
점프샷이라고 하죠 @.@

조리개 셔속을 빼고도 iso라는 기능도 있습니다.
iso는 감도라고도 말합니다.
이 감도는 100,200,400,800,1600,3200 이런식으로 두배씩 올라갑니다.

올라갈수록 빛을 두배로 받기 때문에 같은 조리개여도 감도값을 올리면 셔속이 빨라집니다.
대신 감도값이 높으면 노이즈가 생깁니다.

심도는 촛점이 맞는 거리입니다. 심도는 조리개값과 렌즈의 촛점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피사계심도는 찍으려는 피사체가 뚜렷하게 보이는 가장 가까운 거리와 가장 먼거리 까지를

피사계심도라고 합니다.
그래서 거의 모든 영역이 모두 뚜렷하게 보일때 심도가 깊다고 말합니다.

예를들어 조그마한 건전지를 찍으려고 할때 건전지만 뚜렷하게 보이고 건전지 앞에 있는 물병과 건전지 뒷부분에 있는 화분이 흐릿하게 나오는
딱 건전지만 뚜렷하게 나온 그런 사진을 심도가 얕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촛점이 맞은 건전지의 두깨(촛점이 맞은 건전지의 앞쪽과 뒷쪽까지의 두깨)를 피사계심도라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또렷하고 선명한 풍경사진을 찍고 싶으시다면 심도를 깊게해서 찍으셔야겠죠?
( 조리개를 조여주시면 심도가 깊어집니다. 셔속은 느려지겠죠)

인물을 돋보이게 하기위해 인물을 제외한 배경이나 풍경을 흐릿하게 하시고 싶다면 심도를 얕게 해서 찍으셔야겠죠 @.@; (조리개를 개방하시면 심도가 얕아집니다. 셔속은 빨라지겠죠)

인물을 돋보이게 하고 싶지만 배경이 완전히 흐릿하지 않고 어느정도 알아볼수 있게 하고싶으시다면
이 심도를 조절해서 찍으시면 됩니다.(조리개를 조였다 개방했다 하면서요 @.@ 이때문에 조리개 우선모드인 AV로 많이들 찍습니다)
이렇게 심도를 아주 얕게해서 피사체만을 돋보이게 하는 촬영기법을 아웃포커싱이라고 합니다